환갑삼이의 의기투합
2023년, 과학과 책을 사랑하는 환갑을 맞은 중년 남성 3명이 모였다.
도서 평론가 이권우, 천문학자 이명헌, 전직 각종 과학관장 이정모.
이른바 "환갑삼이" 강연 투어이다.
전국을 유랑하며 나눈 대담 프로젝트 환갑삼이의 기획자이자 사회자인
과학 전문 강양구 기자가 진화학의 관점에서
이들을 위한 덕담을 부탁하면서 장대익 교수까지 합류해
살아 보니 알 수 있었던 진화의 가치를 이야기한
괜찮은 아재들의 유쾌한 수다집이다.
이런 꼰대들이 많아지면 대한민국이 더 살맛 나겠다는 생각도 들면서,
이런 괜찮은 어른으로 늙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환갑삼이와 진화학자의 대담
30만 년 전에 탄생한 인류는 과학과 의료 기술이 발전하기 전
200년 전까지만 해도 태어나 자손을 낳아 양육하다 40대 정도에 죽었다.
이제는 40년 정도를 더 살게 되었으니, 진화학자의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생애사가 바뀔 수밖에 없다.
수렵 채집기에 잘 적응되어 있던 짝짓기 본능과 양육 본능이
새로운 환경을 만나게 되면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인식도 변화되고,
학습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전략 또한 필요해진다.
20대에 대학에 들어가 공부한 걸로 나머지 60년을 버티던 시대는 끝났다.
교육 자원을 생애의 여러 단계로 분산해서
100세까지 지혜롭게 사는 시민들을 길러내는 세상이 되어야 한다.
저글링을 1주일만 해도 어른의 뇌가 변하는데, 책을 읽으면 당연히 변한다.
어떤 생각을 하느냐, 경험과 학습에 따라 인지적, 정서적 뇌를
모두 변화시키는 뇌의 가소성의 원천은 독서이고 어른에게도 당연히 해당된다.
인생에서 쌓아 온 지적, 인적, 물질적 자원을 중심축으로 삼고
삶의 방향을 바꾸는 피버팅(pivoting)의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는
환갑삼이 3인방의 행방이 계속 기대되고 응원을 보낼 수밖에 없었다.
이토록 아름다운 환갑의 동행이 많아지면 좋겠다.
치매 진단을 받고 자살한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처럼,
자신 또한 치매 진단을 받으면 자살할 거라는 이권우 선생님의 이야기를 통해
존엄한 죽음, 조력 자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칠순 때는 안락사 여행인가, 등산하다 조난당해 백골 시체로 발견되거나
사막에서 죽는 것도 좋겠다, 야생 동물에게 잡아먹히든 쉽게 죽는 방식이면 좋겠다 등
환갑삼이의 농담 같은 뼈 있는 죽음에 대한 생각들이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선택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 보게 만들었다.
스위스가 자살 관광국으로 비판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미 비포 유>를 통해 존엄사에 대해 마냥 침묵할 수는 없다는 생각을 했었다.
환갑삼이 역시 수천만 원을 쓰며 스위스로 가는 것은 사치인 것 같고,
우리나라에 맞는 사회적인 합의와 해법을 찾아야 하는데,
우리나라가 자살률 1위 국가이고 자살의 원인이 존엄사와 같은 철학적 이유가 아니라
생활고에 시달리다 힘들어서 그런 경우가 많으니 이런 논의조차 꺼내는 것이
미안하고 죄스럽게 느껴져도, 죽음을 이야기하고 연습하는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가 되었다.
기후 위기가 가속화되면 인류는 더워서 죽는 게 아니라
전쟁으로 죽을 가능성이 커진다는 말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전쟁이 발생하면 지금까지 생산성을 높이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하던 과학 기술이
서로를 죽이는 용도로 사용되는 어리석은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면 좋겠다.
민주주의가 발전해서 과학 기술에 강한 영향을 주고,
다시 과학 기술이 우리 공감의 반경을 넓히는 선순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환갑삼이의 목소리를 잊지 말아야겠다.